이번에 지난번 신용등급 오해와 진실에 이어 무료로 본인의 신용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신용정보조회서비스를 제공하는곳은 마이크레딧과 올크레딧 크게 2개가 있다.
각각 사이트에서도 직접 무료 신용등급을 조회할 수는 있지만,
메뉴찾기도 귀찮고 해서(--) 여기에서는 서민금융나들목을 통해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한다.
일단 조회하기 전에 알아둬야 할것이 있다.
공통적으로 개인 무료신용등급 조회에는 연 3회 라는 조건이 붙어있다.
즉 1~4월 에 한번 , 5~8월에 한번, 9~12월에 한번 이렇게 총 3회만 무료로 제공한다.
먼저 서민금융나들목 사이트(www.hopenet.or.kr)에 접속하면 우측하단에 신용정보 조회라는 메뉴가 보인다.
▲ 우측 하단에 신용정보 조회 메뉴가 보인다.
서비스 이용안내가 자세히 나온다.
올크레딧이든, 마이크레딧이든, 내가 원하는 곳에서 조회해볼 수 있다.
(물론 무료 조회 횟수는 통합이다.)
아이디를 만들어야 사용할 수 있는 관계로, 아이디가 없다면 가입해주면 된다.
▲ 대략적인 서비스 이용절차를 안내해주고 있다
가입후 신청하면 아래와 같이 안내문이 다시 나온다.
신용정보 조회서비스(KCB,NICE) 및 신용등급 시뮬레이터는 본인 인증후 사용 가능하며
이용에 따른 신용평점 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본인인증이 필요한데, 이때 공인인증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금융기관용 공인인증서로는 안되고
반드시 범용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
범용공인인증서가 없다면 http://hambug.tistory.com/19 이글을 참조하거나,
회원아이디로 가입한후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고 조회해볼 수 있다.
신용보고서는 크게 아래와 같은 항목으로 구분되어 나온다.
1)신용조회정보
2)대출정보
3)채무보증정보
4)현금서비스 정보
5)금융질서문란정보 (금융사기등 법원으로부터 유죄판결 또는 여신거래 관련하여 허위, 위변조,부실자료 제출등이다)
6)공공정보(공공기관이 보유하는 정보다.)
7)채무조정정보
8)채무불이행정보
9)단기 연체 정보 (단기연체는 5일 이상 연체가 지속되면 등록이 된다)
10)개인신용평점 및 등급
'재테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가 바라본 연금저축 이야기 - ④ 연금저축보험편(수익율비교) (0) | 2015.07.07 |
---|---|
근로자가 바라본 연금저축 이야기 - ③ 연금펀드편(수익율비교) (0) | 2015.07.07 |
근로자가 바라본 연금저축 이야기 - ② 연금신탁편(수익율비교) (0) | 2015.07.06 |
근로자가 바라본 연금저축 이야기 - ① 연금저축 필요성과 종류 (0) | 2015.07.06 |
신용등급 - ① 신용등급에 관련한 오해와 진실 (0) | 2015.07.05 |
잘못 알고있는 연말정산 상식 3가지 (0) | 2015.07.05 |
신용카드 리볼빙 서비스 문제점과 대책 (1) | 2015.07.04 |
추천 체크카드 비교 및 리뷰 - 은행별 대표카드 위주 비교 (0) | 2015.07.04 |
은행 수수료 면제 입출금통장 전격분석! - 아직도 수수료 내니? (0) | 2015.07.03 |